화물차 운전자들이 안전운전보다 요소수 없어 차가 멈출까 봐 더 걱정인 요소수 대란. <br /> <br />요소수는 요소에다 증류수를 섞어 만드는데 본격 확산한 것은 지난달 중순부터입니다. <br /> <br />[강영운 / 덤프트럭 기사 : 3~4일 뒤에는 멈추고, 운행을 못 해요. '요소수'가 없어서…. 아예 말도 못하죠. 우리 생계가 위협받죠.] <br /> <br />중국 당국이 세관에 내린 공문입니다. <br /> <br />별도의 검역, 검사 없이 수출이 가능했던 요소나 칼륨, 인산 등 총 29종의 품목을 엄격한 검역을 거치도록 했습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 사태 발생 이후 미국 등 서방국가와 양보 없는 대립을 이어가고 있는 중국. <br /> <br />올 들어 호주산 석탄 반입을 중단했고 그 바람에 자국의 전력에 문제가 생기자 요소 수출을 사실상 금지한 것입니다. <br /> <br />석탄에서 암모니아를 추출해 요소를 생산하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보통 국내 요소 수입의 3분의 2가 '중국산'인데 올해는 유난히 중국산 비중이 커져 9월까지는 97% 정도였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이 요소 수출을 가장 많이 하는 국가 순위를 보면 1위 인도에 이어 2위가 한국입니다. <br /> <br />[최동규 /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초빙교수(전 정부 FTA담당 국장) : 한국에다가 요소를 수출해 버리면 어쩌면 (중국) 자기네도 모자랄지도 모르잖아요 그러니까 수출을 안하는거예요. 그런데 거기다 대고 자꾸 우리가 요소수가 없으니까 큰 일 났다 수출을 해다오 백날 얘기해도 소용없어요.] <br /> <br />국내 한 비료업체 창고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요소와 칼륨 등의 재고가 크게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비료업계 관계자는 내년 생산 물량을 위해 유지해온 업체 전체의 재고가 평상시의 5분의 1수준으로 사실상 바닥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요소 등의 비료는 보통 작물 수확 전에 사용돼 올해는 벼농사만 보면 마무리돼 당장은 큰 문제는 없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요소 수입 자체가 어려워지면서 수입가가 급등해 현 유통가의 2배 인상이 불가피해 내년 농사에도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는 지적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상우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11104155920546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